[전업농신문=김민수 기자] 성적인 접촉을 통해서 전파되는 질환을 ‘성병’이라고 한다. 하지만 성병은 성 접촉 뿐 아니라 다양한 경로의 의해서 전염될 수 있다. 대표적인 전염성 높은 질환으로 ‘곤지름’을 꼽을 수 있다.

생식기사마귀나 콘딜로마로도 불리는 곤지름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이다. 이는 전염력이 강해 한 번의 성 접촉으로 50% 이상의 감염 위험을 보인다. 꼭 성 접촉이 아니라도 가족 간의 밀접한 접촉, 대중목욕탕이나 워터파크 등에서의 간접적인 접촉으로 감염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곤지름증상이 있다면 신속한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곤지름은 피부가 약간 올라온 상태로,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구진으로 발생한다. 구진이 커지거나 많아지면 산딸기, 닭 볏의 모양을 띠게 된다. 이 구진은 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살짝만 자극해도 출혈과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스탠탑비뇨의학과 김도리 원장은 “곤지름을 치료하더라도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여전히 피부 점막에 잠복해 있을 수 있다. 재발이 잦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치료는 정확한 검사 후에 맞춤별 치료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고 전했다.

치료에 앞서 환자의 곤지름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김 원장에 따르면 이 증상은 남자매독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육안과 확대경을 통한 검사 뿐 아니라 정밀한 성병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PCR검사, 혈액조직검사를 통해 치료의 신속성을 보일 수 있다. 하루 만에 비뇨기과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빠르게 남자곤지름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PCR검사는 곤지름 말고도 다양한 성병종류를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게 쓰인다. PCR검사는 분비물이나 소변을 통해 추출한 DNA를 분석하는 남성성병검사다. 현미경검사로도 얻지 못했던 정보까지 알 수 있어 치료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곤지름은 크기와 발생 부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야한다. 환자마다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진단 결과에 따라 그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해야 재발할 확률이 낮아진다는 설명이다.

곤지름 크기가 크지 않으면 간단한 약물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곤지름의 크기가 이미 커진 상태라면 레이저치료를 시행한다. 레이저치료로 다양한 사이즈의 성기사마귀를 제거할 수 있다. 좁은 부위에 발생한 남자곤지름증상은 냉동질소로 환부를 얼린 후 이루어지는 냉동요법으로 흉터 없이 치료할 수 있다.

김 원장은 "무엇보다 곤지름레이저 치료 시 분진흡입 설비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레이저치료 중 발생하는 연기와 분진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호흡기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진 흡입 설비를 이용해 이러한 2차 피해를 막아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그는 “수치스럽다는 이유로 치료를 꺼리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곤지름이 더 커지고 개수가 증가하면 치료가 더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조속히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