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최우선 정책과제 ‘농산물 수급안정’ 지켜져야

이태호 기자
이태호 기자

농산물 마늘가격이 심상치 않다. 지난 13일 제주마늘생산자협회가 제주도청 앞에서 마늘 수매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가진 뒤 폐기하려고 놔둔 마늘을 정문 앞에 쌓아놓고 1㎏당 3200원 수매 보장을 요구했다.

올해도 마늘이 과잉 생산되면서 가격 폭락의 우려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같은 폭락이 마늘,양파,대파 등 작목별로 매번 반복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 2020년 산 마늘 재배면적은 통계청과 KREI 실측결과 평년보다 773ha(3.1%)증가한 2만5,376ha로 나타났다.

월동기 기온상승과 적절한 비가 내려 작황이 양호한데다 3월 생육초기 면적조절(506ha/7천톤) 실시에도 불구하고 예상 생산량은 35만톤으로 전년대비 4.5만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다.

가격 폭락 조짐을 보이자 농식품부와 농협은 지난 1일 수확기 적정 산지가격지지를 위해 사전면적조절(산지폐기)과 수매 등을 통해 4만톤을 시장격리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가 산지폐기와 수매,수출 등 급하게 대책마련을 내놨지만, 제주를 비롯한 마늘 생산 농민들은 근본적인 대책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이미 제주농가들은 3월 1차 산지폐기를 통해 애써 지은 농산물 마늘 밭 506ha이상 갈아 엎어버렸다.  5월 현재에도 마늘 878톤을 산지폐기하고 있고 매수비용은 1kg당 2642원으로 농민들이 요구하는 금액과는 558원 차이가 난다.

농가들은 국내 농산물 가격폭락에 6만톤이상의 수입마늘과 중국산 김치까지 대거 수입되면서 우리식탁에 우리 농산물로 만든 김치를 먹기 어려워져가고 있다고 한탄하고 있다.

따라서 수입물량을 정부가 통제할 수 있는 대책마련과 함께 정확한 수요조사를 통한 농가들이 자율적인 생산량 조절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13일 농식품부 이재욱 차관은 지자체,기관, 소비자단체등 과 마늘 수급안정대책을 점검하는 자리에서 "올해 농식품부 최우선 정책과제는 농산물 수급안정이라고 하면서, 특히 마늘 가격을 안정시키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는 난지형 마늘 1만5천톤(1,000ha) 출하정지를 5월내 마무리하고 최종 생산량과 시장상황에 따라 대책물량(3만8천톤)을 과감하고 적극적인 수급 안정대책을 6월 중 추진하기로했다고 밝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늘 가격안정을 위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단체의 참여와 정부의 수급 안정대책 실행기관의 소통아래 과감하고 적극적인 대책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면역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마늘은 예로부터 우리민족이 즐겨먹었던 농산물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우리민족의 강한 단결력과 매서운 힘이 여기에서 나오고 있다.

자존심을 지킬 몇 안되는 농산물을 우리 식탁에서 지켜낼 수 있도록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