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농신문=편집부] 코로나19가 겨울 들어 재확산돼 지역별로 학교급식이 중단되거나 축소 운영되면서 피해를 입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들이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모든 학교가 15일부터 원격수업에 돌입함에 따라 학교급식 중단이 불가피해져 농가들은 물론 친환경농산물을 학교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친환경 법인의 피해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올 한해 예기치 않은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계속된 학교급식 중단과 축소는 자라나는 아이들의 건강한 급식을 위해 친환경농산물을 계약 재배하던 친환경 농가들에게 큰 어려움을 안겨 줬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한 각 지자체와 각계 각층에서 친환경꾸러미 공동구매, 친환경농산물 기부행사, 대형유통업체 판촉사업 등 많은 대책을 추진해 왔다. 특히 지난 4∼9월에 진행된 학교급식 가정꾸러미사업은 친환경농가들의 피해를 일정부분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게 사실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학교급식 중단과 축소에다 올 여름철 유례없이 긴 장마와 잇따른 태풍 등 자연재해로 상당수 친환경농가들은 하반기 농사를 망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어 장마와 태풍피해를 이겨내고 애써 다시 심은 친환경농산물이 수확됐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소비위축과 학교급식 중단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 공급량이 많고 학교급식 의존도가 높은 제주지역의 친환경감귤과 친환경 월동채소 농가들은 가격폭락과 판로를 찾지 못해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실제 ㈔제주도친환경농업협회 등 제주지역 3개 단체는 지난 8일 기자회견을 갖고 올해 학교급식 중단·축소로 감자, 당근, 대파, 브로콜리, 양배추, 월동무, 감귤 등 지역 내 농산물 적체 예상량은 562만3000㎏에 달해 67억5100만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소비에서 학교급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이상인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학교급식 중단 피해가 계속되면 친환경농가들은 더 이상 버티는 게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친환경농업 진영의 주장이다.

환경생태보전을 위해 수십년 동안 육성해 온 친환경농업이 무너진다면, 다시 세우기에는 몇 배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친환경농업계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환경생태계를 지키는 친환경농업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친환경농산물 소비확대를 비롯한 시장격리, 친환경농가에 대한 피해보전 등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시급히 실행에 옮겨야 한다.

친환경농가들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해 우수하고 저렴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해야 한다. 학교급식 물량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감소에 대응해 작기를 조절하거나 장기저장 등 선제적 대응에도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본란을 통해 주장한 바도 있지만,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계약재배가 파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졌을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계약재배 안정 기금 설치나 농산물재해보험 확대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의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 수립해야 한다. 특히 친환경 농업이 단지 먹거리만을 생산하는 산업이 아니라 인류의 건강과 지구 생태계를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이라는 인식이 우리 사회와 국민들에게 확산되도록 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