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호 기자
이태호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 사회 전체가 단계별 거리두기와 각종 행사취소 등 소비침체가 이어지면서 축산업계도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올해까지 이어질 수 있어 우려스럽다는 축산업계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안정, 농업 분야 연구개발, 가축 위생 및 방역과 같은 농축산 생산 농가의 안정과 학교 우유 급식 및 국민의 바른 먹거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축산발전기금(축발기금)출연에도 먹구름이 끼어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한국마사회가 경마 이익금의 70%를 축산발전기금으로 연간 1500억 원 가량을 납입해 축산업 발전에 적지 않게 기여했지만 뜻하지 않은 코로나 사태로 축산업계 발전 추진동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됐다. 마사회는 지난해 12월 이익금이 없어 내년에도 축산발전기금이 납입 불가한 “0”원이라고 밝혔다.

한국마사회는 2019년에도 938억 원을 출연하며 전체 축산발전기금의 약 31%인 3조 원을 누적 출연해왔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마사회도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6조 원 이상 연이은 적자로 경영난을 겪고 있고, 코로나19 장기화 등 내·외부 경영 환경을 볼 때 향후 최소 3년 이상 축산발전기금 기금 출연이 불가하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말산업을 비롯해 농축산 업계 또한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측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말산업 관련 농가들은 생계에 극심한 타격을 입고 있어 이런 비상 상황에 대한 정부의 중장기 대책 마련 또한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경마 선진국을 비롯한 일본의 경우 언택트 시대, 온라인 마권 발매를 통해 지난해 경마 매출이 전년 대비 3% 증가했다는 보고와 이미 오래전부터 온라인 경마를 허용한 영국의 경우에도 합법 시장을 키워 불법시장 성장을 억제했다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온라인 발매를 통해 말 생산 농가를 비롯한 축산업 회생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인권단체에서는 온라인 도박중독을 부추겨 정신건강을 헤칠 수 있다며 우려하고 반대에 나서고 있다.

농식품부도 이 부분을 고민하며 국민적 합의를 끌어 내는데 역점을 두겠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와 국회,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관련 축산업의 생존을 위해 하루속히 지원대책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마련해야 한다.

코로나가 장기화하면서 온라인 복권발매와 스포츠 토토, 주식,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투기적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

유독 온라인 마권 발매만 사행성으로 묶어 규제하는 것도 시대적 흐름에는 맞지 않는다.

마사회도 ‘불법 경마 사이버 국민 모니터링 단’을 모집해 근절에 나서고 있는 만큼 언택트(비대면) 시대, 건전한 온라인 경마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법 사행 경마 차단을 통해 마사회의 경영정상화와 지속할 수 있는 축산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