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3차 종자산업 육성계획’ 발표
디지털 육종 상용화로 종자 경쟁력 강화
세계 10대 종자 전략 개발로 수출 확대
‘전문인력․데이터․거점’ 3대 인프라 구축

△출처=농식품부
△출처=농식품부

[전업농신문=장용문  기자] 정부가 고부가 종자산업 육성을 위해 앞으로 5년간 1조 9410억 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종자산업 규모를 1조2천억 원으로 키우고, 종자수출액을 1억 2천만 달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3차(2023~2027년) 종자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이 계획은 ‘종자산업 기술혁신으로 고부가 종자 수출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디지털 육종 등 신육종 기술 상용화 △경쟁력 있는 핵심 종자 개발 집중 △3대 핵심인프라 구축 강화 △기업 성장․발전에 맞춘 정책 지원 △식량종자 공급개선 및 육묘산업 육성 등 5대 전략과 13개 과제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우선 2012~2021년까지 진행된 골든시드프로젝트 후속으로 디지털 육종 상용화를 위해 2025~2034년까지 7000억 원을 투자해 종자산업 혁신기술 연구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 아래 올 하반기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다.

또한 경쟁력 있는 핵심종자 개발에도 집중한다. 세계 종자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옥수수, 콩을 포함한 밀, 감자, 벼 등 식량작물과 향후 높은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스마트팜, 수직농장 등에 특화된 상추 등 엽채류와 딸기, 토마토, 파프피카 등 과채류 종자 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후변화, 기계화 전환에 대응한 밀, 콩 품종과 쌀 적정 공급을 위한 가루쌀 품종, 채소․과수는 1인용 소형 양배추 등 소비자 기호 변화에 대응하는 품종, 화훼는 로열티를 절감할 수 있는 품목도 집중 육성한다.

이와 함께 육종-디지털 융합 전문인력 양성, 공공 육종데이터 민간 활용성 강화, ‘종자산업혁신단지(K-Seed Vally)’ 구축 및 국내 채종 확대 등 3대 핵심 기반 구축 강화도 추진한다.

특히 네덜란드의 ‘종자 단지’와 같이 종자업체의 연관된 집적 효과를 높이고 연구개발(R&D) 시설, 연구기업 등이 집적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를 2025년부터 조성한다. 이를 위해 올해 타당성 연구용역과 내년 부지관리전환 및 예타 심의를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 주도 연구개발에서 과제 기획부터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및 기업의 자부담비율 상향으로 책임감을 제고하는 기업 주도 연구개발로 개편한다. 이를 통해 정부가 보유한 유전자원을 개방해 민간기업이 직접 병저항성 정도 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종자가공센터를 2026년까지 전북 김제에 구축해 종자에 영양제, 발아촉진제 등의 코팅처리를 통한 종자 부가가치 상승에도 기여한다.

또한 식량종자공급 및 육묘산업 육성 방안으로 식량종자 민간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립종자원이 보유한 정선시설을 민간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민간기업이 식량종자 시장 진입을 쉽게 유도하고, 과수 무병묘 공급을 늘려 바이러스로 인한 과수 농가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이외에 육묘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주요 채소 작물의 육묘에 적합한 환경데이터 구축, 제공 및 육묘기반 구축을 위한 시설장비 등을 지원한다. 불법․불량 종자 유통에 의한 농업인 피해 예방 및 묘 품질표시제도 정착을 위해 종자 유통관리도 강화한다.

윤원습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제3차 종합계획은 디지털육종 상용화 등을 통한 종자산업 기술혁신과 기업 성장에 맞춘 정책지원으로 종자산업의 규모화와 수출 확대에 중점을 두었다”면서, “관계기관, 업계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연차별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해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