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농신문]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지난 8일 막을 내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는 조합원 161만 2573명이 투표에 참여해 79.6%의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총 3082명이 조합장 후보자로 등록해 1346명이 당선됐다. 이 중 후보자가 1명만 출마해 무투표 당선된 조합도 총 290곳에 달했다.

먼저 치열한 선거전 끝에 당선된 조합장들에게 축하의 인사를 건네며, 앞으로 임기 4년동안 조합의 진정한 주인인 조합원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 특히 농업․농촌 발전에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농․축협 조합장들에게 해당되는 것이겠지만, 농업․농촌을 둘러싼 대내외적 여건이 무척 어렵다. 벼 재배면적과 수확량은 증가하는 반면 감소하는 쌀 소비로 인해 쌀값이 하락하면서 쌀 농가들은 물론 난방비 급등, 사료가격 인상, 한우 가격 하락, 꿀벌 폐사 등으로 축산․원예 농가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한 농업인력 부족, 지구온난화에 따른 빈번한 자연재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의 가축질병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번에 당선된 농․축협 조합장들은 이같은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협동조합 본연의 목적인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농민 등 조합원의 소득 향상을 위해 조합원이 생산한 고품질의 우수 농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판로확보 및 마케팅 활동, 새로운 수요 창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아울러 조합의 흑자 시현도 무척 중요하다. 많은 조합장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조합의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수익사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비용은 최대한 아껴 합리적 경영을 펼쳐야 한다. 이를 통해 배당금과 각종 적립금으로 조합원들에게 환원해야 하는 것이다.

농촌 지역의 고령화 문제와 함께 청년층의 수도권 편중 현상에 따른 농업인력 부족문제 해결에도 조합장들이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품목별 청년조합원 육성 및 원활한 정착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청년농업인에 대한 상시적인 영농·생활 지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정부․지자체․농협중앙회 등과의 연계를 통해 청년농업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사업도 활발히 실시해야 한다.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상대 후보 및 진영에 대한 배척은 절대 삼가야 한다. 그동안 선거가 끝날 때마다 후보와 지지 조합원간 알력으로 인해 조합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고, 농촌지역의 갈등과 분열을 야기하면서 후유증이 오래 계속되기도 했다. 그럼 점에서 당선자들은 낙선한 후보들을 위로하고 실패를 딛고 일어서 조합원을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낙선후보의 선거공약도 우수한 내용은 수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차제에 정부와 국회는 조합장 선거제도를 손보아야 한다. 현행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조합장 후보자의 선거운동 방법은 선거공보, 개인전화 홍보, 지역농협 홈페이지 게재, 이메일 발송 등 극히 제한적이다. 이번 선거에서 나타났지만, 투표율이 계속 떨어지면서 조합장 선거에 대한 조합원들의 관심이 멀어지고 있으며, 현직 농축협 조합장의 당선율이 무려 62.2%에 달한다는 것으로 분명 문제가 있어 보인다. 조합원들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 합동연설회 개최 등 선거방법 개선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어떻든 이번에 당선된 조합장들은 임기동안 조합원을 대표해 조합 조직을 바른 길로 이끌고, 조합원이 잘 살 수 있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조합 발전에 큰 족적을 남기게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