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발표
농식품 수출 150억불…첨단기술활용 부가가치↑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전업농신문=구득실 기자] 최근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케이-푸드(K-Food)’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국내 식품산업 시장을 1,100조 원 규모로 키우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2023~2027년)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제4차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식품산업 환경과 전망을 분석하고, 앞으로 5년간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 

식품산업 규모를 2021년 656조 원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9%씩 1,100조 원으로 키운다.  또 농식품 수출액을 지난해 88억 2000만 달러에서 2027년 150억 달러로 늘리고, 농업과 연계를 통한 국산 원료 사용량도 2021년 594만톤에서 2027년 800만 톤으로 확대한다.

식품산업의 세계적 경쟁력 강화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해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K-푸드'라는 비전 아래 5대 정책분야, 14개 세부과제를 도출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첨단기술 통한 식품산업 성장 △K-Food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식품산업과 농업 간 연계 강화 △식품산업의 성장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 주요 내용.
'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 주요 내용.

지역별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 조성
농식품부는 먼저,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나간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중심으로 지역별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가칭)를 조성해 푸드테크를 활용한 중소식품업체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기능성식품·고령친화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도 적극 육성한다.

다음으로 2027년까지 농식품 수출 15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케이-브랜드(K-Brand)’로 육성하고, 현재 11개인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을 2027년까지 20개로 9개 더 늘린다.

또한, 높아진 한식 인지도를 내수-관광-수출로 연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미식관광 상품인 15개의 ‘케이(K)-미식벨트’를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도 확대해 국산 식재료 수출 확대로 연결한다.

전통식품산업 육성·국산원료 사용확대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 식품산업도 활성화한다. 김치는 안정적 원료공급 기반 마련, 자동화 공정 개발·보급 등을 통한 품질 경쟁력 강화로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여 나가고, 전통주는 명주를 육성하여 수출상품으로 키운다. 장류는 발효 기술의 과학화를 통해 소스 산업으로 육성한다.

농업과 식품산업 간 지속가능한 상생 협력 체계도 구축한다. 식품기업-농가 간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중계 플랫폼’을 구축하고, 원료 생산단지 확대, 식품 소재·반가공 산업 활성화,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및 포상 확대 등을 통해 협력체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한다.

380억 투자 식품소재 국산화ㆍR&D지원강화
마지막으로, 사회가치경영(ESG) 등 변화된 경영환경에 대응해 식품기업을 위한 ‘사회가치경영(ESG) 가이드라인’을 마련, 컨설팅 지원 등 식품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한다.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외국인력 고용 규제 완화와 함께 계약학과 운영 등 전문 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자금지원 확대를 위해 원료매입ㆍ시설현대화 등을 늘린다. 원재료에 대해서는 할당관세, 계약재배 등을 추진한다. 또 올해 380억 원을 투자해 푸드테크ㆍ그린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 식품 소재 국산화, 식품 품질ㆍ안전성 제고 등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도 강화한다.

이 밖에 식품 생산단계별 안전관리 강화, 식품관련 정책에 대한 소비자 참여 확대, 정보제공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높인다.

농림축산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미래유망 식품산업 육성과 농식품 수출 확대 등 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겠다”라고 힘줘 말했다.

저작권자 © 전업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